티스토리 뷰
목차
갑작스러운 위기, "경기도 누구나돌봄서비스"로 도움 받는 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기도 내에 좋은 복지서비스가 있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혼자 병원에 가야 하는데 도와줄 가족이 없을 때,
수술 후 회복 중인데 집안일이 너무 버거울 때,
아이가 아픈데 잠시 맡길 곳조차 없는 순간.
이럴 때 경기도의 ‘누구나 돌봄서비스’는
일상생활의 어려움을 대신 도와주는 든든한 제도입니다.
특히 시흥시민이라면 ‘시흥돌봄 SOS센터’를 통해 간단히 신청 가능하고,
도움이 필요한 순간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1. 신청방법
‘누구나 돌봄서비스’는 단기적인 돌봄 공백이 생겼을 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재 경기도 내 29개 시·군이 참여 중이며, 소득이나 나이에 관계없이 신청 가능합니다.
(단, 성남·하남시는 미참여)
이용 대상 예시
- 병원에 가야 하는데 동행할 사람이 없는 경우
- 퇴원 후 가사·식사 등 일상생활이 어려운 경우
- 아이를 맡길 곳이 없어 아동 돌봄이 필요한 경우
- 집수리, 방역, 위생 문제가 발생했는데 처리할 사람이 없는 경우
2. 어떤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나요?
공식적으로는 기본형 5개 분야 + 확대형 7개 분야,
총 7가지 유형의 돌봄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서비스 구분 | 주요 내용 | 이용한도 |
---|---|---|
생활돌봄 | 세면·이동·가사지원, 식사 준비 | 연 60시간 이내 (1회 최대 8시간) |
동행돌봄 | 병원·공공기관 방문 시 동행, 거주시설 안내 | 연 60시간 이내 |
주거안전 | 소규모 수리, 방역, 난방보조, 안전 손잡이 등 | 연 60시간 이내 |
식사지원 | 즉석식 제공 | 1일 1~3식 / 월 최대 45식 (60식 내) |
일시보호 | 아동·어르신 단기 보호, 시설 연계 | 연 15회 이하 |
재활돌봄 | 신체 기능 저하자 대상 활동 지원 | 연 10회 이하 (1회 2~3시간) |
심리상담 | 우울, 불안, 외로움 등 정서지원 상담 | 연 10회 이하 (1회 1시간 이내) |
대부분 1인 기준 연간 40~60시간 내외로 이용 가능하며,
서비스는 공공기관·지자체 위탁 제공기관이 직접 수행합니다.
3. 신청절차
아래와 같은 간단한 절차로 신청부터 제공까지 진행돼요.
- 신청 접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또는 돌봄 SOS센터
- 현장 방문: 담당 공무원이 72시간 내 방문해 상황 확인
- 돌봄 계획 수립: 필요한 서비스 선정 및 의뢰
- 서비스 제공: 위탁기관에서 돌봄 진행
- 모니터링: 제공 후 결과 보고 및 비용 정산
시흥시민은 ‘시흥돌봄SOS센터(☎ 031-310-3812)’로 전화만 해도 상담 및 신청 가능해요.
4. 이용 요금은 얼마나 드나요?
이용 요금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 지원율 |
---|---|
120% 이하 | 전액 지원 (무료) |
120~150% 이하 | 50% 지원 |
150% 초과 | 전액 자부담 |
대부분의 도민은 무료 또는 저렴한 금액으로 돌봄을 이용할 수 있어요.
결론론
누구나 한 번쯤은 예상치 못한 돌봄 공백을 겪습니다.
경기도의 ‘누구나 돌봄서비스’는 그런 순간을 위한 든든한 대안입니다.
특히 시흥에 거주하고 있다면 ‘시흥돌봄SOS센터’가 가장 빠른 방법일 수 있어요.
📞 시흥돌봄SOS센터: 031-310-3812
📎 경기도 공식안내: 누구나 돌봄서비스 안내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