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방법 (청년에게는 희망을, 기업에게는 기회를)
오늘은 누군가에겐 첫 출근의 설렘, 누군가에겐 오래 기다린 채용의 문이 열리는 순간. 그 시작을 더 따뜻하게 만들어주는 제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을 소개하겠습니다.
1. 함께 성장할 누군가를 기다리는 기업에게
작지만 묵묵히 달려가는 기업이라면, 청년 한 사람을 맞이하는 일이 생각보다 큰 결심일 수 있어요.
이 제도는 정규직으로 청년을 채용한 중소·중견기업에 최대 720만 원을 지원해 주는 정책이에요. 특히, 빈일자리 업종의 경우 청년에게 추가 480만 원을 지원하여, 총 1,200만 원의 혜택이 가능합니다.
2025년 기준 신청 조건
-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 중 5인 이상 기업
- 최근 1년 내 인위적 감원이 없을 것
- 만 15~34세 청년을 정규직으로 직접 채용할 것
- 채용 후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기업 입장에선 인건비 부담을 줄이면서도 미래 인재를 육성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2. 자격요건
"나도 이제 어디론가 출근할 수 있을까?" 이런 고민을 안고 있는 청년이라면, 이 제도가 꼭 닿았으면 좋겠습니다.
참여 대상 청년 요건 (2025)
-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 취업 취약계층이거나, 장기간 미취업 상태였던 경우
- 주 30시간 이상 근무 가능한 정규직에 취업했을 경우
- 사전에 워크넷 구직등록을 한 경우
이 장려금은 단순히 ‘지원금’을 제공하는 제도가 아니에요. 누군가의 첫걸음에 힘을 더해주는 정책, 그 자체랍니다.
3. 지원금액
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지원 구조는 아래와 같아요:
구분 | 지급 조건 및 내용 |
---|---|
유형 1 |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시 기업에 최대 720만 원 지원 |
유형 2 | 빈일자리 업종 + 6개월 이상 고용 시 기업에 최대 720만 원 + 청년에게 장기근속 시 최대 480만 원 추가 지급 |
📌 즉, 빈일자리 업종에서 청년이 장기근속할 경우 총 1,200만 원의 혜택이 제공됩니다.
4. 신청방법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접속 후 간편하게 신청 가능해요. 절차도 단순해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어요.
신청 절차 요약: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접속
- 참여 신청 → 청년 채용 →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 고용센터 통해 사전 상담도 가능
기업과 청년 모두 대상 요건만 충족하면 쉽게 신청 가능합니다.
5. 마무리하며
한 사람의 출발을 응원하는 일, 함께 일하는 하루를 지켜내는 일. 그 모든 순간에 든든한 뒷받침이 되어주는 제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입니다.
기업에게는 든든한 지원을, 청년에게는 더 넓은 세상을. 2025년에도 이 제도가 더 많은 출발점에 함께 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