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2025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금액,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출산을 앞둔 예비 엄마·아빠들에게 가장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복지 혜택 중 하나가 바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바뀐 지원금액과 신청 방법, 대상 조건까지 정리해 봤습니다. 

    1. 산모신생아 건강관리란?

    출산 후 산모의 회복과 신생아의 건강관리를 돕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건강관리사를 가정에 파견해주는 서비스예요. 산모의 산후 회복, 신생아 돌봄, 가사 지원까지 포괄적으로 관리해줘서 첫 출산을 앞둔 가정이라면 특히 큰 도움이 됩니다.

    2. 2025년 지원금액은 얼마나?

    지원금액은 출산 유형(단태아/쌍태아/삼태아 이상)가구 유형(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일반가정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준가격(1일)

    구분 단태아
    (인력 1명)
    쌍태아
    (인력 2명)
    삼태아
    (인력 2명)
    삼태아
    (인력 3명)
    사태아
    (인력 2명)
    이상
    (인력 4명)
    일반 142,400원 178,000원 275,200원 356,800원 412,800원 550,400원
    양정평균단가(일반) 135,300원 168,100원 261,400원 338,960원 392,160원 522,880원

     

    태아 유형 지원 유형 서비스 기간 및 지원금
    단축 표준 연장
    단태아 첫째아이 5일 / 592,000원 10일 / 1,184,000원 15일 / 1,776,000원
    둘째아이 10일 / 1,184,000원 15일 / 1,776,000원 20일 / 2,368,000원
    셋째아이 이상 10일 / 1,184,000원 15일 / 1,776,000원 20일 / 2,368,000원
    쌍태아
    (장애의 정도가 심한 산모 포함)
    인력 1명 10일 / 1,520,000원 15일 / 2,280,000원 20일 / 3,040,000원
    인력 2명 10일 / 2,072,000원 15일 / 3,108,000원 20일 / 4,144,000원
    삼태아 이상
    (장애의 정도가 심한 산모 포함)
    없음 (인력 2명) 15일 / 3,552,000원 20일 / 4,736,000원 25일 / 5,920,000원

    ※ 실제 지원금은 지역별 지자체 예산 및 바우처 단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신청기간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60일까지(임신 16주 이후 발생한 사산·유산의 경우, 확인일로부터 30일 이내)

    4. 신청 방법

    1) 신청 기간: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 후 60일까지 가능
    2) 신청 경로: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거주지 주민센터
    3) 필요 서류: 신분증, 건강보험증, 출산예정증명서 등

    5.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신청 대상)

    • 대한민국 국적의 산모
    • 건강보험료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정
    •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다문화가정 등 우선 지원

    6. 마무리

    2025년에도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은 예비 부모들에게 가장 실질적인 산후도우미 제도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신청만 잘하면 꽤 높은 금액의 지원을 받을 수 있으니, 조건에 맞는다면 꼭 챙겨보세요. 소중한 출산의 순간, 국가의 손길이 함께한다는 건 정말 큰 위로가 되니까요. 꼭 혜택 받으세요.

    👉 복지로 바로가기: www.bokjiro.go.kr

    반응형